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서울에서 온누리상품권을 구매할 수 있는 판매처를 지역별로 정리했습니다. 농협, 신협, 우체국 등 실제 방문 가능한 지점 정보와 함께, 카드형·지류형 상품권 모두 구매 가능한 장소를 확인해 보세요.
서론
전통시장과 지역 상권을 살리는 착한 소비의 상징, 온누리상품권. 특히 서울 시민이라면 전통시장 방문 시 온누리상품권을 통해 할인 혜택까지 누릴 수 있는데요. 하지만 막상 구매하려고 하면, “도대체 어디서 팔지?” 하는 고민이 생기곤 합니다.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서울 지역에서 온누리상품권을 구매할 수 있는 판매처를 구체적으로 안내드립니다.
본론
1. 온누리상품권 종류별 판매처 안내
- 지류형 온누리상품권: 전국 농협은행(NH), 신협, 수협, 우체국 창구에서 판매
- 카드형 온누리상품권: 제로페이 앱 또는 제휴 은행(우리은행, 농협 등)에서 발급 후 충전
- 모바일형 온누리상품권: 비플제로페이, 체크페이, 머니트리 등 모바일 앱 구매
2. 서울 지역 지류형 온누리상품권 주요 판매처
아래는 서울 내에서 지류형 온누리상품권을 구매할 수 있는 대표적인 금융기관입니다.
① 농협은행 (NH)
- 중구 본점: 서울 중구 충정로 5길 19
- 강남지점: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 203
- 동대문지점: 서울 동대문구 왕산로 210
② 신협
- 서울신협 본점: 서울 영등포구 도신로 120
- 강서신협: 서울 강서구 공항대로 457
③ 수협은행
- 중앙지점: 서울 종로구 새문안로 3길 20
- 영등포지점: 서울 영등포구 양산로 43
④ 우체국
- 서울중앙우체국: 서울 중구 소공로 70
- 종로우체국: 서울 종로구 우정국로 6
※ 판매 가능 여부는 지점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사전 전화 문의 권장
3. 모바일·카드형 온누리상품권 구매 방법
- 비플제로페이 앱: 회원가입 → 온누리상품권 구매 → 등록 후 사용
- 체크페이, 머니트리: 제로페이 연동 후 상품권 구매 가능
- 우리 WON뱅킹·NH스마트뱅킹: 카드형 온누리상품권 충전 가능
4. 할인 및 구매 한도
- 지류형 온누리상품권: 5~10% 할인, 월 최대 70만 원 구매 가능
- 카드/모바일형: 할인율과 구매한도는 앱 및 정부 방침에 따라 상이
5. 주의사항
- 상품권은 유효기간 5년, 분실 시 재발급 불가
- 환불은 잔액 60% 이상일 경우 일부 가능 (구매처 통해 신청)
- 구매 전 신분증 지참 필수 (금융기관 기준)
결론
온누리상품권은 단순한 할인 수단이 아닙니다. 지역 상권을 살리는 따뜻한 선택이자, 현명한 소비의 시작입니다. 서울 시내에서는 가까운 농협, 우체국, 신협 등을 통해 쉽게 구매할 수 있으며, 모바일 앱을 활용하면 더 간편하게 사용할 수도 있죠. 지금 가장 가까운 판매처를 확인하고 온누리상품권의 가치를 직접 경험해 보세요.
반응형